2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, 올해 3분기까지 전국 지가는 2.92% 상승했다. 3분기 지가변동률은 1.06%로 2분기의 1.10%에 비해 소폭 감소했다.
3분기 누계 지가변동률은 일년전 같은 기간의 0.95%에 비해 높은 수치다. 다만 같은 기간 소비자물가 변동폭보다는 낮은 수준을 나타냈다.

전국 17개 시도의 땅값이 모두 상승한 가운데, 지방은 2.95%로 수도권의 2.91%보다 높은 상승세를 보였다. 서울은 3.32%로 2013년 9월 이후 49개월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. 경기는 2.57%, 인천은 2.36%였다.
세종은 5.24% 올라 전국 최고 상승률을 나타냈고 부산 4.84%, 제주 4.06%, 대구 3.38%, 광주 3.34%, 전남 2.98%로 전국 평균을 상회했다.

반면 울산 동구는 -1.38%, 경남 거제시는 -0.04%를 기록했다. 조선경기 침체에 따른 부동산 수요 감소로 땅값이 하락한 것으로 분석됐다.
올들어 3분기까지 전체 토지 거래량은 248만 6천 필지(1663.9㎢)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4.5% 증가했다. 서울 면적의 2.7배에 이르는 규모다. 건축물 부속 토지를 제외한 순수토지 거래량은 87만 4천 필지(1536.2㎢)로 일년전보다 6.3% 증가했다.
3분기 거래량은 세종이 지난해보다 71.8% 증가했다. 인천도 26.1% 증가한 반면 제주와 울산은 6.0%와 2.8% 각각 감소했다. 순수토지 거래량도 세종과 인천은 각각 26%와 23.5% 증가했지만 제주와 경북은 각각 19.7%와 2.6% 줄어들었다.

당국은 개발 수요나 투기 우려가 많은 지역에 대해선 토지 가격과 거래 상황에 대해 지속적으로 점검한다는 방침이다.
'부동산 > 부동산뉴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주거복지 로드맵2017년11월29일발표 (0) | 2017.11.30 |
---|---|
부영,호반건설 대기업 건설사로 분류 (0) | 2017.11.24 |
8.2부동산 대책 후 세종시 거래 감소 (0) | 2017.10.21 |
부동산세금 강화움직임 (0) | 2017.10.08 |
부동산에 쏠리는 자금 (0) | 2017.09.25 |